제약바이오 츄롸이츄롸이

Apogee Therapeutics (NASDAQ: APGE) - 스터디 본문

개별 스터디

Apogee Therapeutics (NASDAQ: APGE) - 스터디

OCBC 2025. 5. 11. 21:00
반응형

March 2025 Apogee Therapeutics Overview (Website).pdf
2.29MB

 

Apogee Therapeutics

전략은 기존에 증명된 MoA를 바탕으로 half-life extension와 같은 조작으로 PK 향상을 통해 better molecule 개발

(출처: APGE IR Presentation 2025 March)

 

IL-13은 Lebrikizumab이 닦아놓은 MoA

TSLP는 Tezepelumab

IL-4Ra는 Dupilumab

OX40L/OX40는 아직 확실히 나온건 없지만, 빅파마들이 하고 있는 분야

 

Half-life Extension 2가지 방법:

  • YTE amino acid modification (M252Y, S254T, T256E)
  • LS amino acid modification (M428L, N434S)

ChatGPT한테 물어본 정보:

특성 YTE LS
변형 위치 CH2-CH3 인터페이스 CH2-CH3 인터페이스
주요 변형 아미노산 M252Y, S254T, T256E M428L, N434S
FcRn 결합 친화도 효과 pH 6.0에서 큰 증가, 중성 pH에서는 낮음 pH 6.0에서 적당한 증가, 중성 pH에서는 낮음
반감기 연장 수준 약 3~4배 약 2~3배
적용 사례 MEDI8897 등 Dupilumab, Nivolumab 등
개발자 Medimmune (AZ) Regeneron
주요특허 US766427B2 US8349329B2
출원일/
등록일
2005 12 22/
2010 2 23
2009 12 22
2013 1 8
특허만료 예상 2025 12 22 2029 12 22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 

APG777 (anti-IL13):

- YTE Modification 적용

- Binding epitope: Lebrikizumab  overlapping 되는 부분이 있음.

- IL-13R1a<>IL-4Ra 결합을 방해해서 heterodimer 생성을 억제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 

- NHP 데이터 기반으로 Human half-life 80-110 정도로 예상 했음.

임상 2상 디자인에서 720mg @ Week 0 & Week 2 → 360mg @ Week 4 & Week 12

Maintenance Q12W or Q24W 고려중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 

  • 23 8 임상 1 개시
  • 24 3 중간 결과 발표 / 24 12 추가 결과 발표
  • 24 5 임상 2 APEX (AD 적응증) 개시

  • 25년 2월 Part B 개시

임상 2 Part A Lebrikizumab 대비 30-40% higher exposure / Part B 고용량은 100% 초과라고 한듯

 

Tralokinumab / Lebrikizumab / Dupilmab / APG777 비교: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 

TARC Asthma Exacerbation 연관은 있다고 .

STAT6도 저해가 확실하고 TARC도 저해력이 좋아서 AD에 효과를 보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.

(Dupilumab은 TARC Level 변화를 공개한 것을 잘 못찾음)

 

 

AD 적응증으로 진행중이고

EoE Asthma 대해서 25 상반기에 임상 1b 개시 계획

결과 Asthma 임상 2b상은 25 하반기 & EoE 임상 2상은 26 (상당히 빠르게 잡네)

 

APG808 (IL-4Ra):

- Half-life extended (YTE modification)

- NHP에서 half-life 27 (Dupilumab 11일

- Half-life 대략 41-103일 정도로 예상되었음 (실제 임상 1 결과에서 half-life: 55-days → Potential for Q2M)

- Binding epitope: Dupilumab overlapping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 

(출처: APGE 10-K Report)

(출처: APGE R&D Day on 2024-12-02)

APG777보다는 APG808의 TARC 감소폭이 좀 낮음 (MoA의 차이 때문인가?)

 

 

APG990 (OX-40L):

- Half-life extended (어떤 modification인지 언급되어 있지 않음)

- NHP에서 half-life 26 (Amlitelimab 21 정도 나오는듯)

          임상 1상에서 대략 60일로 확인

- Amlitelimab binding epitope 겹침

OX40 & OX40L 타겟하는 항체들은 많은데, OX40 기대치 만큼은 안나오는듯. 그래서 병용 전략으로 빅파마는 바뀌는 같은  

- 24년 8월 임상 1상 개시- 임상 1상에서 75mg, 150mg, 300mg, 600mg, 1,200mg까지 투여 진행

 

- 25 3; 임상 1상 데이터 발표 → 실제 half-life 60일정도로 해서 Q3M/Q6M 탐색해본다고 .

 

APG777 (IL-13) + APG990 (OX40L) 병용으로 APG279 파이프라인 개발 계획

 

 

APG333 (TSLP):

- Pre-clinical 실험에서 half-life 24 정도 (Tezepelumab 11 정도)

- TSLP Type2 & Typ3 inflammation 관련

- Binding epitope: Tezepelumab overlapping

APG333 (IL-13) + APG333 (TSLP) 병용 계획